꽃은 바람을 거역해서 향기를 낼 수 없지만, 선하고 어진 사람이 풍기는 향기는 바람을 거역하여 사방으로 번진다.

여행/국내여행

[스크랩] 「안동 진성이씨 종택」 등 2건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및 「봉화 서설당 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예고

가야돌 2017. 7. 9. 14:51

안동 진성이씨 종택2건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및 봉화 서설당 고택국가민속문화재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안동 진성이씨 종택봉화 선성김씨 빈동재사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하고, 봉화 서설당 고택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 예고하였다.

 

국가민속문화재 제291안동 진성이씨 종택진성이씨의 대종가(大宗家)’ 고려말 문신 송안군 이자수(李子脩)14세기에 종택의 현재 위치인 두루마을(안동시 와룡면 주하리)에 터를 잡아 노년을 보냈다고 전해지며, 7대손 이훈(李壎, 14671538)이 대대적으로 이건(옮겨 세움) 중수하였다.

 

종택본채, 별당, 사당, 행랑채, 방앗간채, 내삼문으로 구성되었다. 종택의 맨 앞쪽에 자형 행랑채가 전방 조망을 방해하지 않도록 오른쪽으로 빗겨 배치되어 있고 그 뒤쪽에 본채가 양측 날개채를 둔 완전 자형으로 자리 잡고 있다. 본채의 왼쪽에는 별당(경류정), 오른쪽에는 방앗간채가 있고, 본채 뒤편 왼쪽 높은 곳에 내삼문과 사당이 있다.

 

성리학적 생활 규범에 따라 사랑채와 안채 사이가 엄격하게 구분되어 있고, 사당도 독립적으로 나눠져 있는 등 거주지 내 공간을 명확하게 구분한 것은 조선 중기 이후 상류층 주택의 전형적인 배치 유형을 보여준다. 별당 앞마당에 있는 수령(樹齡) 600년의 뚝향나무(천연기념물 제314)는 종택의 역사를 보여주는 표상으로 전해 내려오고 있다.

 

안동 진성이씨 종택은 한 가문의 역사적인 변천, 향촌사회의 변화상을 규명해 볼 수 있는 역사문화적인 자료가 전승되는 공간으로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 가치가 있다.

 

국가민속문화재 제292봉화 선성김씨 빈동재사 조선 세종대 천문학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당대 최고의 천문학자 선성김씨 7대손 김담(金淡, 1416~1464) 선생의 묘지를 수호하기 위한 재사로, 최초 창건 시기는 알 수 없으며 1753년에 중건되었다.

* 재사: 학문과 덕행, 충효가 뛰어난 인물이나 입향조, 중시조 등을 추모하는 제사를 지내기 위해 묘소(墓所)나 사묘(祠廟) 옆에 지은 집을 말하며, 몸과 마음을 청결히 하고, 1년에 한 번 이상 자손들이 모여서 제사 지내는 곳

* 김담(金淡): 조선 세종대 천문학자로 이순지 등과 더불어 한양을 기준으로 한 우리나라 최초로 독자적인 역법서 <칠정산(七政算)>을 저술

 

재사는 본채로 구성되며, 안동 문화권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자형 중에서 측면에 누()를 둔 형태의 본채 건물 1동으로, 구조 양식적으로 18세기 이전에 주로 나타나는 기단(基壇), 창호, 지붕 형식 등이 잘 보존되어 있다. 특히, 코쿨흙등잔대 등은 희소한 가치 뿐 아니라 재사건축의 양식사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 귀중한 자료다.

* 코쿨 : 강원도 산간 지방에서 쓰던 흙으로 된 벽난로로, 생김새가 사람의 콧구멍과 비슷한 데서 유래

 

조상의 묘소를 수호하는 재사를 문중 차원에서 전승하기 위하여 선성김씨삼소운영위원회(宣城金氏三所運營委員會)’를 두고 전통제례 방식으로 보존 관리하고 있다.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 예고된 봉화 서설당 고택 봉화읍 유곡리에 처음 입향한 안동권씨 충재 권벌(權橃, 1478-1548)의 둘째 아들 동미(東美, 1525-1585)4대손 권두익(權斗翼, 16511725)1708년 이건한 것으로 전해지며, 봉화읍 유곡리의 토일마을 뒷산을 뒤로하고 마을 앞 토일천을 앞에 둔 배산임수형의 배치를 이룬다.

 

고택은 본채와 사당으로 구성되며, ‘자형으로 구성된 본채의 동북쪽으로는 사당이 자리 잡고 있고, 본채와의 사이에 토석담장을 설치하여 영역을 구분하며 협문을 두어 출입 할 수 있게 하였다.

 

터의 풍수적 해석에 근거하여 담장 없이 이룬 외부 공간 구성, 17세기 이후부터 두드러지는 내외 공간 구분과 돌출된 사랑채, 사당의 독특한 팔작지붕(양 측면에 삼각형 모양의 합각면이 있는 지붕)은 문중 고유의 상대적 독창성을 지닌 두드러진 특징으로 희소가치가 매우 크다.

 

봉화 서설당 고택에는 성주고사, 칠성고사, 용단지 등을 모신 집지킴이 문화 등 전통적인 생활양식이 유지되는 등 민속학인류학적인 자료가 전승되고 있다. 현대에 들어 전통적인 생활양식이 사라지면서 이에 대한 기록 보존이 시급한 가운데 봉화 서설당 고택역사성학술성 면모를 잘 갖추고 있어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 가치가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된안동 진성이씨 종택 봉화 선성김씨 빈동재사가 체계적으로 정비·보존되고, 역사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여러모로 힘써나갈 예정이다.

 

또한,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 예고한 봉화 서설당 고택에 대하여 30일간의 지정 예고 기간에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할 예정이다.

지정 및 지정 예고 개요

(지정) 안동 진성이씨 종택

소 재 지: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태리금산로 242-5(주하리 634)

시 대: 조선 시대

소 유 자: 이세준

수 량: 일곽(건물 6, 토지 2,856<2필지>)

- 건물: 6(와가 : 5/271.05, 초가 : 1/17.25)

와가: 본채 174.49, 경류정 31.74, 사당 21.76, 행랑채 35.75, 내삼문 7.31

초가: 방앗간채 17.25

- 토지: 2필지 2,329.73

현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72안동 주하동 경류정 종택

지정 사유

- 안동 진성이씨 종택은 진성이씨(송안군)대종가로 고려말 문신 송안군 이자수(子脩)14세기 종택의 현 위치인 두루마을 터를 잡아 노년을 보냈다고 전해지며, 7세 훈(李壎,14671538)에 의해 대대적으로 이건 중수하게 됨

- 종택의 맨 앞쪽에 자형 행랑채가 사랑 공간의 전방 조망에 장해가 되지 않게 우측으로 빗겨 배치되어 있고 그 뒤쪽에 양측 날개채를 둔 완전자형 몸채가 자리 잡고 있음.

몸채의 좌측에는 별당(경류정), 우측에는 방앗간채가, 방앗간과 안채 부엌 사이에 장독대가 위치

앞마당에 있는 뚝향나무(천연기념물 제314/수령 600)는 주촌 종가의 역사성을 잘 보여줌

- 성리학적 생활규범에 따라 내외담이 설치되어 공간구분이 엄격히 이루어지고 있는 17세기 이후 나타나는 배치 유형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음.

- 안동 진성이씨 종택은 한 가문의 역사적인 변천, 향촌사화의 변화상을 규명해 볼 수 있는 역사문화적인 자료가 전승되는 공간으로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 가치가 있음

 

 

(지정)봉화 선성김씨 빈동재사

소 재 지: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문단리 963

시 대: 조선 시대

소 유 자: 김광호

수 량: 일곽(건물 1, 토지 565<1필지>)

- 건물: 1(와가/118.75)

- 토지: 1필지 565

현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97빈동재사

지정 사유

- 봉화 선성김씨 빈동재사는 조선 세종 대의 천문학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당대 최고의 천문학자 선성김씨 7대손 김담(金淡, 1416~1464) 선생의 묘지를 수호하기 위한 재사로, 최초 창건 년대는 알 수 없으며 1753에 중건됨

- 안동문화권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자형 중에서 측면에 누를 둔 재사로, 구조 양식적으로 중건한 시기에 주로 나타나는 기단, 창호, 지붕 형식 등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특히 코쿨흙등잔대 등은 희소가치가 있고 재사건축의 양식사에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 귀중한 자료임

- 조상의 묘소를 수호하는 재사를 문중에서 관리하고, 전통적인 제례 중의 하나인 묘사를 문중차원에서 그대로 전승하고 있음. 문중 차원에서 이러한 문화를 계승하려는 의지가 강하여 선성김씨삼소운영위원회(宣城金氏三所運營委員會)’ 통하여 관리하고 있음

- 빈동재사는 재사가 갖는 역사·문화적인 의미를 담은 공간으로서 조건을 갖추고 있어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요건에 필요한 역사성학술성을 기본적으로 갖추었음

        

(지정 예고)봉화 서설당 고택

소 재 지: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토일길 124-12(유곡리 554)

시 대: 조선 시대

소 유 자: 권우붕

수 량: 일곽(건물 2, 토지 3,345<1필지>)

- 건물: 2(와가 : 2/474.4)

와가: 서설당 380.4, 사당 94.0

- 토지: 1필지 3,345

현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04봉화 서설당

지정 예고 사유

- 봉화 서설당 고택은 유곡리에 처음 입향한 안동권씨 충재 권벌(權橃, 1478-1548)의 둘째 아들 동미(東美, 1525-1585)4대손 권두익(權斗翼, 16511725)1708년 이건한 것으로 전해지며, 봉화읍 유곡리의 자연마을인 토일마을 뒷산을 뒤로하고 마을 앞 토일천을 앞에 두는 배산임수형의 배치를 이룸

- 고택은 본채와 사당으로 구성되며, ‘자형으로 구성된 본채의 동북쪽으로는 사당이 자리 잡고 있고, 본채와의 사이에 토석담장을 설치하여 영역을 구분하며 협문을 두어 출입 할 수 있게 하였음

- 터의 풍수적 해석에 근거하여 담장 없이 이룬 외부 공간 구성, 17세기 이후부터 두드러지는 내외 공간 구분과 사랑채의 돌출, 사당의 독특한 팔작지붕은 문중 고유의 상대적 독창성을 지닌 두드러진 특징으로 희소가치가 매우 큼

- 역사·문화적인 변화상을 찾아 볼 수 있는 민속관련 유·무형의 자료가 어느 정도 전승되고 있고 기본적인 역사성 ·학술성을 갖추어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 가치가 있음


<글. 사진 출처 : 문화재청>

출처 : 내일의 어제
글쓴이 : 魯村 원글보기
메모 :